보건교육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4:19
본문
Download : 보건교.hwp
1987년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1주일에 6시간의 보건교육을 정규교과시간에 실시하도록 행정지침을 정하여 시범 운영한 것은 학교보건교육의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2-1973. 2)
라.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2-1981. 12)
의학 보건 치료
아. 제7차 교육 과정기 (1998. 1 이후) 1987년 6월 30일 단행된 제5차 교육과정개정(문교부 고시 제 87-9호)에 의하면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에서 학교교육을 통하여 길러야 할 인간상을 ① 건강한 사람, ② 자주적인 사람, ③ 창조적인 사람, ④ 도덕적인 사람의 4가지로 제시하고 그 중 건강한 사람을 첫 번째로 꼽고 있다(문교부 1988: 20).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보건교육은 교육부 교과 편성 계획에 따라 학년별로 관련 교과목 내에 포함하여 분야별 학습형태로 이루어지는 정규 보건교육과 각 학교에서 학교장이나, 보건담당 실무자의 관심과 열의에 따라 학교 독자적으로 계획 시행되는 비정규 보건교육의 형태로 나누어져 있다(교육연감, 1993). 그러나 내용 연관성에서 분야별 연계성 등이 조정되지 않아 체계적이지 못하고, 중복 또는 편중되어 보건교육의 최종목표 달성에는 못 미친다고 할 수 있따
학교보건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정책수립을 하였다. 1987년 1월 문교부에서는 전국의 3개 지역(서울, 경북, 전북) 초등학교(서울 삼륭 초등학교, 전북 신안성 초등학교, 경남 안강 초등학교)에 학교 일차보건의료 연구 개발팀과 관련 교육위원회 주관으로 2년간 시범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예산조치 및 행정지원을 하였다.
바. 제5차 교육 과정기 (1987. 7-1992. 9)





다.
레포트 > 의학계열
나.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8-1963. 2)
설명
의학 보건 치료 / (보건)
의학 보건 치료 / (보건)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 보건교.hwp( 20 )
가. 교수 요목기 (1945. 9-1955. 7)
사. 제6차 교육 과정기 (1992. 10-1997. 12)
순서
마.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1-1987. 6)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