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탐구 수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5:52
본문
Download : 사회과 탐구 수업.hwp
초등사회과탐구수업 , 사회과 탐구 수업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사회과 탐구 수업.hwp( 27 )
사회과 탐구 수업
,사범교육,레포트
Dewey는 탐구란 어떤 신념 혹은 가정되어 있는 지식 형태를 이 신념 혹은 지식 형태를 뒷받침하고 있는 여러 근거에 비추어 적극적이며, 끈기 있고 세심하게 고찰하는 것, 또 이 신념 혹은 지식 형태가 지향하는 여러 conclusion(결론)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Dewey, 1993 : 9)이라고 정의(定義)하였다.초등사회과탐구수업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순서
탐구 수업의 concept(개념)과 원리, 모형에 마주향하여 알아보고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한국교육개발원, 1982 : 40)
Massialas는 “탐구란 사실과 가치의 문제를 인식하고, 그들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비추어 평가하고, 평가 기준에 입각하여 이를 입증하는 과정이다. 그것은 개방된 학습 풍토에서 교수-학습에 보다 많은 가설을 설정하여 이들 가설과 관련된 신뢰성 있는 data(資料)를 통하여, 불확실한 상황을 검증하고, 평가해 가는 수업과정이다. 그 과정은 교육의 실용주의적, 과학적 전통에 뿌리를 둔 것이며 ...... 근본적으로는 어떤 아이디어들을 지지하는 기초에 비추어 그 아이디어들을 판단, 평가하고 그로부터 입증된 conclusion(결론)을 도출해 내는 것이라고 정의(定義)된 Dewey의 반성적 사고에 기초를 둔 것이”(Massialas, 1966 : 90)라고 하였다.(정세구 외, 1985 : 46) 즉, 어떤 근거에서 어떤 사고의 단계를 거쳐 conclusion(결론)에 도달하였느냐에 대한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지식의 구조를 이루는 기본 정의(定義) 과 그 관계를 이해하고,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지적인 탐구 방법 및 판단력과 창의력 배양을 강조하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러므로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탐구 수업은 사회적 사상을 관찰 조사하며, 직면한 의문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탐구하게 함으로써 탐구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학습…(투비컨티뉴드 )
다.
탐구 수업을 포함하여 탐구 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 활동을 총칭하는 탐구 수업이란 탐구과정을 통하는 수업을 뜻한다. 그의 탐구의 근간이 되는 반성적 사고 과정이란 탐구의 대상인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여 그 불확실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정을 세우고, 그 과정을 평가 검증하는 준거를 제시함으로써 점차 확실한 상황으로 옮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탐구 수업의 개념과 원리, 모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