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3:55
본문
Download :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hwp
다.
바이러스성 수막 뇌염의 임상증상의 심한 정도는 요인에 따라 다르다. 예방접종으로 발생빈도가 줄었지만 멈프스에 동반되는 수막뇌염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arbovirus는 지역마다 다르며 국내에서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가 주로 문제이다.
바이러스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原因은 많은 예에서 규명되지 못하지만 규명된 경우 바이러스가 가장 많다. HSV에 의한 뇌염에서 아시클로비어로 치료하는 것 외에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수막뇌염에는 특별한 치료가 없는 실정이며 두통과 지각 과민에는 안정을 취하도록 해야 한다. 체온이 상승하면 이상한 행동을 하며 의식장애 및 경련이 올 수 있다 국소 신경증상은 변하지 않거나 진행성 기복이 있고 배변 및 방뇨 조절 상실 및 자발적 감정폭발이 올 수 있다 피부 발진이 선행 또는 동반될 수 있다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
중추 신경계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나타나는 특이 임상 및 합병증으로는 길랑바레 증후군, 급성 횡단성 척수염, 급성 편마비 및 급성 소뇌성 운동 실조증 등이 있다
설명
바이러스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많은 예에서 규명되지 못하지만 규명된 경우 바이러스가 가장 많다.
3. 치료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486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C%86%8C%EC%95%84%20%EC%8B%A0%EA%B2%BD%EA%B3%84%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4868_01.jpg)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486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C%86%8C%EC%95%84%20%EC%8B%A0%EA%B2%BD%EA%B3%84%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4868_02_.jpg)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486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C%86%8C%EC%95%84%20%EC%8B%A0%EA%B2%BD%EA%B3%84%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4868_03_.jpg)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486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C%86%8C%EC%95%84%20%EC%8B%A0%EA%B2%BD%EA%B3%84%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4868_04_.jpg)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486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C%86%8C%EC%95%84%20%EC%8B%A0%EA%B2%BD%EA%B3%84%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4868_05_.jpg)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
레포트 > 의학계열
순서
초기증상으로 연장아에서 두통, 지각과민, 영유아에서는 보채거나 다루기 힘든 경우가 있다 두통은 대개 전두측에 있거나 전체적으로 다 있다 사춘기 어린이는 구후 통증을 호소하며 발열 구역 구토 목다리동통 광선공포증이 흔하다. 장 바이러스 (enterovirus)가 전체 바이러스성 수막뇌염의 80%이상을 차지하며 arbovirus와 헤르페스 바이러스도 그 다음으로 흔한 原因이다. 장 바이러스 (enterovirus)가 전체 바이러스성 수막뇌염의 80%이상을 차지하며 arbovirus와 헤르페스 바이러스도 그 다음으로 흔한 원인이다.
Download :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hwp( 28 )
세균감염이 아님이 드러날 때 까지는 정맥용 항생제를 투여를 실시한다. 경련, 뇌부종, 심한 고열, 불충분 호흡, 수분 전해질 불균형, 흡인질식, 중추신경계와 연관된 심장 및 호흡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처하도록 준비하고 뇌압 증가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아의 뇌압을 측정(測定) 할 수 있는 장비 사용하고 뇌부종을 막기 위해서 뇌압을 떨어뜨리는 조치 필요하다. 예방접종으로 발생빈도가 줄었지만 멈프스에 동반되는 수막뇌염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arbovirus는 지역마다 다르며 국내에서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가 주로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