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 중심 산학협력 활성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3:45
본문
Download : 200309.jpg
이와 관련, 산자부 관계자는 “산학협력의 활성화는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 도래를 앞당길 신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부처별로 마스터플랜을 마련해 올해말부터 내년초에 걸쳐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요자 중심 산학협력 활성화
government 는 이날 국정처리해야할문제회의에서 기술혁신과 創業(창업)확대를 통한 취업증대, 경제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산학협력 중심대학 선정·육성 △대학 평가제도의 개선 △대학의 기업설립 및 출자 허용 △국가 산학협력 데이터베이스 구축·활용 △산학협력 민관협력체계 구축 등 5대 정책처리해야할문제를 정하고 본격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레포트 > 기타





Download : 200309.jpg( 87 )
government 의 산학협력 활성화 정책이 수요자 중심으로 바뀐다.설명
노무현 대통령은 “인재 수요자인 기업과 교육 수요자인 학생, 학부가 다른 방향의 교육을 요구하고 있어 이를 뛰어 넘어야 한다”며 “government 가 기업·학계 사이의 수요·공급을 논의, 조정하는 기구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순서
수요자 중심 산학협력 활성화
노 대통령은 이어 “성공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特性)이 무엇인지 analysis(분석) 해서 다른 대학들이 공유하고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대학교육이 더욱 자율화돼 다양하고 개방된 형태의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government 의 지원방식도 더욱 다양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government 는 25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신산학협력체제 구축 방안(方案)’을 주제로 한 제23회 국정처리해야할문제회의를 열고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5대 정책처리해야할문제를 발표했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
다.
수요자 중심 산학협력 활성화
수요자 중심 산학협력 활성화
government 는 이에 따라 산업체 수요에 맞추는 수요자 중심 교육으로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기초·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를 위한 연계를 강화하는 등 기술혁신형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1사 1전담교수’ 제도를 확산하고 대학내 산학협력기구를 적극 활용하는 등 대학의 능동적이고도 참여적인 기술지도와 이전을 활성화하고 創業(창업)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